여주 관아의 부속건물이었던 청심루는 목은 이색, 포은 정몽주를 비롯한
약 40여명의 시판(詩板)이 걸려 있을 정도로 명소였다. 이처럼 유명 문인들
이 다수의 한시를 남긴 것에는 청심루가 자리했던 여강의 위치와 경관, 그리
고 역사적 배경 등과 연관이 깊다. 비록 1945년 군수 관사의 화제로 인해 수많은 작품들이 청심루와 함께 소실되었지만, 현재 여러 문집을 통해 해당
작품들을 확인할 수 있다.
청심루제영 가운데는 당시 여주목사의 시와 함께 당대 교유했던 문인들의
시, 그리고 다수의 차운시 계열 작품들이 전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해당 작품
들을 통해 청심루를 중심으로 한 교유시의 면모와 차운시의 특징 및 창작배
경, 전승양상 등에 대해서도 논의해보았다.
또한 <여주청심루상량문>과 <청심루기>를 비롯하여, 여러 문인들이 시와
함께 남긴 다양한 기록들을 토대로 청심루에 대한 연원 및 청심루 제영의
전반적인 특질들에 대해 검토하였다. 더불어 근대 기록물을 통해 청심루의
경영 및 관련일화 등을 확인하였으며 역사적 변천과정 속에서 누정의 역할
과 기능, 상징성 등에 대해 추적해보았다. 이는 지역사회 속 누정의 역할과
함께 청심루에 대한 가치 및 누정문학의 의미들을 살펴볼 수 있는 작업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Cheongsimru, an annex building to Yeoju Government Office, was such an
attraction that there hung about 40 poets' framed poems, including Mokeun
Lee Saek and Poeun Jeong Mongju. The fact that famous poets wrote a number
of Sino-Korean poems for the pavilion was deeply related to the location,
landscape, and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Yeo River where Cheongsimru was
situated. Although Cheongsimru and its numerous works were destroyed in a
fire in 1945, the works can be confirmed through various literary collections.
Among the poems for Cheongsimru, there were some poems of Yeojumoksa,
the local government officer, some of the writers who were associated at the
time, and many number of works related to rhyme-borrowing poems.
Examining those works for Cheongshimru, this paper also discusses the features
of friendship poems and the characteristics, the background of creation, the
transmission style of rhyme-borrowing poem
In addition, based on various records including poems by various writers
such as Yeoju Cheongsimru Sangryangmun and Cheongsimrugi, the origin of
Cheongsimru and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the poems for Cheongsimru are
traced. Furthermore, through modern records, the management of Cheongsimru
and related anecdotes are identified, and the role, function, and symbolism of
the pavilion in the process of historical change are examined.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a work to examine the value of Cheongsimru and the
significance of pavilion literature along with the role of pavilions in the
commun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