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 및 안내
오시는 길
연구활동
지역인문학센터
근대한국학 DB
알림
Quick Menu
메인메뉴 바로가기
메인콘텐츠 바로가기
사이트맵 바로가기
보안체크중...
전체메뉴
로그인
공지사항
처음으로
근대한국학연구소
HK+사업단
지역인문학센터
오시는 길
출판물
우수 학술도서
학술활동
근대한국학 DB 소개
데이터베이스 검색
HK DB 검색
근대한국학 온라인 강좌
근대한국학 대면 강좌
문화 학술 행사
연세근대한국학통신
대중 총서
공지사항
소식지
행사 갤러리
언론보도
묻고 답하기
소개 및 안내
연구활동
근대한국학 DB
지역인문학센터
알림
Research
Institute for the study of Korean Modernity
연구활동
출판물
우수 학술도서
학술활동
출판물
연구활동
출판물
전체보기
근대한국학연구소 총서
HK+사업단 총서
저서
학술논문
제목
본문내용
Total
374
일신상의 진리, 혹은 신체의 현상학-1930년대 김남천 문학의 방법론적 전회에 관한 재해석: 「남편 그의 동지」와 「물」을 중심으로
분류 :
학술논문
저자 :
한수영
출판일 :
2021.04.23
내용
:
이 글은 1930년대 김남천의 비평과 소설을 중심으로, 그가 시도했던 방법론적 전회를 재해석하기 위해 쓰게 되었다. 주지하다시피, 김남천은 1930년대 중반 이후부터, ‘고발문학론’을 필두로 당대 문학계의 중요한 쟁점들에 적극 참여하면서 자신의 독특한 입론을 전개시켜 나갔다. 그런 한편, 그는 소설가로서도 매우 활발한 창작활동을 펼쳐, 주목할 만한 장편소설과 중․단편 소설들을 다수 펴낸 바 있다. 따라서, 그의 문학적 실천과 그 성취에 관해서는 이미 상당한 비평....
2034
근대 신춘문예 당선 단편소설: 조선일보 편
분류 :
HK+사업단 총서
세부구분 :
자료 총서
저자 :
손동호(엮음)
출판일 :
2021-04-30
내용
:
근대 문학 발전의 디딤돌, 독자 참여 제도 근대 시기, 신문이나 잡지 등의 매체는 독자를 확보하기 위해서 다양한 독자 참여 제도를 시행하였다. 대표적인 사례로는 독자투고, 현상제도, 신춘문예 등이 있다. 독자투고는 독자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독자들에게 지역 소식, 전설, 속담, 방언 등 비교적 간단한 원고를 받아 신문에 게재하였다. 독자투고는 일방적인 수용자....
3662
근대 동아시아의 인문학과 상호인식
분류 :
HK+사업단 총서
세부구분 :
연구 총서
저자 :
근대한국학연구소 인문한국플러스사업단
출판일 :
2021-04-30
내용
:
이 책은 지난 2019년 6월 22일 히토쓰바시대학에서 열린 연세대학교 근대한국학연구소 HK+사업단·히토쓰바시대학 언어사회연구과 한국학연구센터 공동주최 제1회 국제학술 심포지엄의 성과를 단행본으로 엮은 것이다. 문학, 철학, 역사학, 어학 등의 분야에서 동아시아의 인문학과 상호인식을 검토하는 총 12개의 발표가 이루어졌고, 19세기 말부터 제2차 세계대전에 이르....
3606
근현대 동아시아 지역주의: 한미일 관계를 중심으로
분류 :
HK+사업단 총서
세부구분 :
연구 총서
저자 :
송병권
출판일 :
2021-04-30
내용
:
이 책은 1940년대를 중심으로 동아시아 지역주의를 다루고 있다. 1940년대 전반의 제1기 지역주의 유형으로 일본의 동아시아 지역주의론의 연속과 단절을 다룬다. 동아시아 지역주의 구상의 두개의 축으로 ‘동아광역경제론’이란 경제적 지역주의의 측면과 ‘대동아국제법질서론’이라는 국제법적 지역주의 측면을 다루면서, 전전 지역주의론 속에서 식민지 조선의 위....
3625
『황성신문』의 독후설(讀後說) 연구
분류 :
학술논문
저자 :
반재유
출판일 :
2020-12-16
내용
:
1900년 이후, 「논설」란은 연이은 신문 지면(「기서」·「사조」·「소설」 등)의 출현으로 인해 더욱 큰 변화를 겪게 된다. 그 가운데 주목할 만한 것은 「소설」란이 등장한 1906년 전후로, 외국서적에 대한 서평형식의 논설이 등장한다는 점이다. 대표적인 예로 『황성신문』에 발표된 「독월남망국사」와 「독의대리건국삼걸전」을 들 수 있다. 「독월남망국사」와 「독의대리건국삼걸전」에 대해서는 작자와 번역의 문제를 중심으로 검토된 바 있지만, 「논설」란에 연재....
5321
『경남일보』의 「삼강의일사」 연구 - 저자규명 시론과 편찬의식을 중심으로 -
분류 :
학술논문
저자 :
반재유
출판일 :
2020-09-30
내용
:
『경남일보』는 한국인에 의해 지방에서 발행된 최초의 신문이며, 한일강제병합 이후 한국인이 발행하던 신문들이 모두 폐간되었을 때에도 지속적으로 간행되었던 신문이다. 현존하는 『경남일보』는 결호가 많아 사설의 전체적 논조나, 연재물들의 온전한 내용을 확인할 수 없다. 그러나 「삼강의일사」의 경우, 창간호부터 비교적 결호가 적은 1910년 말까지 발표된 작품이다. 또한 각호마다 특정 주제의 일화들을 선별하여 연재한 작품이므로, 당대 『경남일보』의 성향이....
5237
근대전환기(1895~1910) 개국·조선독립론 중심 ‘한국근대사’ 서술의 구조
분류 :
학술논문
저자 :
김헌주
출판일 :
2021-03-02
내용
:
본 연구는 [한성신보]를 비롯한 재조일본인 역사학의 특징인 개국론·조선독립론 관점의 ‘한국근대사’ 서술이 당시 한국의 역사서술과 어떤 유사점과 차이점이 있는지 총체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에 따라 먼저 1890년대 [한성신보]를 중심으로 재조일본인의 역사서술에 관해 분석을 시도했다. 그 결과 1890년대 이후 재조일본인 역사서술이 개국론과 조선독립론이라는 일정한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고 그러한 경향은 당대사 즉, ‘한국근대사’에 ....
5429
1920~30년대 羅敦偉의 중국사회 개조론과 경제인식
분류 :
학술논문
저자 :
김하림
출판일 :
2021-03-29
내용
:
This article attempts to investigate an intellectual journey of Luo Dunwei, one of the elite thinkers in the era of Republic of China, particularly focusing on the development of his theory for the reorganization of Chinese society during 1920s and 1930s. In concrete the article examines three notable periods: the period of the May Fourth Movement when Luo Dunwei paid attention to the matters of family and women; that of the National Revolution when he identified himself as social reformer rediscovering and internalizing the historic value of the Three People’s Principles; and finally, early- and mid- 1930s when Luo devo....
5325
물질문화를 통해 살펴 본 개화기 조선의 미국_
분류 :
학술논문
저자 :
이유정
출판일 :
2020-12-06
내용
:
이 논문은 미국이란 타자가 물질문화를 통해 서서히 그 표상을 드러내기 시작했던 근대 초기 조선을 미국화의 측면에서 살펴본다. 이를 위해서 1890년대와 1900년대 발행되었던 근대 신문에 나타난 미국 제품의 광고를 중심으로 당시 조선 사회에서 미국이라는 국가가 갖는 의미를 분석한다. 1890년대에 미국 제품은 조선 미국인 선교사 가정을 대상으로 제한적으로 유통되는 경향이 있었고, 마찬가지로 조선 사회 전반적으로도 미국 제품은 서양 제품, 근대 물품의 일부로서 인....
5541
시전(市廛)에서 상점(商店)으로-광고를 통해 본 근대 초기 상점의 변화 양상
분류 :
학술논문
저자 :
이유정
출판일 :
2020-12-08
내용
:
이 논문은 1890년~1910년 사이에 소비되고 있던 외래품의 현황과 이러한 외래품의 유입으로 달라진 근대 초기 조선 상점의 변화 양상과 소비문화의 변화를 살펴본다. 개항 이후 조선의 시장은 전통적 시전(市廛)의 형태에서 점차 근대적 상점(商店)으로의 변화를 겪게 된다. 시전의 외적인 건축 형태뿐만 아니라, 이곳에서 판매하고 있는 품목에도 변화가 나타난다. 이 시기의 조선 시장은 간판도 광고도 없는 종로 거리의 전(廛), 전방(廛房) 혹은 점방(店房)이라고 불리는 상호와 ....
522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6493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연세대길 1
근대한국학연구소 청송관 271호 / Tel: 033)760-2531 / E-mail:
modernkorean@yonsei.ac.kr
인문한국플러스(HK+)사업단 청송관 273호 / Tel: 033)760-0122(사업단) / E-mail:
ysmkhk@yonsei.ac.kr
Copyright (c) Yonsei University. All rights Reserved.
Powered by
D'TRUST
교내 주요 사이트: 선택
연세대학교
연세포탈서비스
교원정보시스템
연구처·산학협력단
학술정보원
LearnUS
With YONSEI
RC융합대학
YGEMS 경력개발포털
SW중심대학사업단
C-Cafe 경력개발센터
산학연협력학생포털
미래융합교육개발원
인문한국플러스(HK+)사업단
국제교류원
미래평생교육원
상담코칭센터
장애학생지원센터
머레이봉사단
학생복지처
원주생활관
대외협력부
청파·한경범장학회
유관 기관 사이트: 선택
교육부
한국연구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