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어 연구를 과학적 방법론으로 정착시키
려고 했던 노력은 꽤 이른 시기부터 발견되는데,
특히 1920~30년대에 벌어진 여러 가지 표기법
관련 논쟁에서 상대의 논리를 ‘비과학적’이라고
비난하고 과학적 언어 연구란 바로 이런 것이라
고 주장하는 대목에서 그러한 경향이 잘 드러난
다. 그런데 이러한 논쟁을 전형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바로 1926~27년 사이에 동광지에서 벌
어진 자산 안확과 주시경 제자들 간의 논전이다.
안확은 잘 알려져 있다시피 언어는 물론이고 문
학, 정치, 음악, 무술 등 각 방면에서 자신의 독
특한 견해를 피력한 ‘국학자’인데, 그는 특히 꽤
이른 시기부터 주시경의 학설을 줄곧 비판해 온
것으로도 유명하다. 주시경에 대한 안확의 이러
한 문제제기는 ‘언어란 무엇인가’, ‘언어학이란
어떠해야 하는가’라는 이른바 메타언어학적 쟁
점이 형성되는 데 기여했고 당대의 조선어 연구
에도 일정한 자극을 준 것으로 보인다. 이 글에
서는 동광지에서의 논쟁을 중심으로 ‘과학으
로서의 언어학’을 주장한 안확의 조선어 연구가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바는 과연 무엇이었으며
그것에 내재하고 있는 난점, 즉 과학으로서의 언
어학이 처한 곤란함은 어떠한 것인지를 검토해
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