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양계초(梁啓超, 1873~1929)가 자국 학술 사상에대한 연구로서의 국학(國學)을 통해 ‘중국철학’을 어떻게 구상했는지 조명해 보았다. 그는 철학사상 최초로 말년까지 일관된 입장을 가지고 서양철학과 대비되는 ‘중국철학’을 구성하고자 노력하였다. 그는 서양철학과의 비교를 통해 ‘중국철학’의 성격을 드러내는 방법론을 제시하였고, 궁극적으로는 서양철학과의 통합을 목표로 삼았다. 또한 그는 한학(漢學)에 대해 비판적으로 보되 송학(宋學)을 선호하는 입장을 유지했다. 이 같은 관점에 입각하여 그는 칸트(I. Kant, 1724~1804) 철학을 주체적으로 해석함으로써 ‘중국철학’적 구상을 구체화했다. 또한 그는 호적(胡適, 1891~1962)에 대한 비판을 통해 ‘중국철학’의 기원과 실천적수양론이라는 특성을 강조하였다. 양계초는 ‘중국철학’의 연구가 국학의 관점에서 중국 고유의 특색을 발굴하되, 과학적 지식을 배척하지 않는 입장에서 인식론을 포용하는 방식으로 나가야 한다고 보았다. 결론적으로, 양계초의 중국철학적 기획은 현대 신유가를 비롯한 근현대 중국철학을 개출(開出)한 독창적이고 선구적인 철학으로서 평가할 수 있으며, 중국철학 연구자들뿐만 아니라 동아시아 철학 연구자들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This article sheds light on how Liang Qi-chao (1873~1929) envisioned “Chinese philosophy” through the research of national learning (guoxue 國 學). For the first time in the history of Chinese philosophy, he tried to form a “Chinese philosophy” that contrasts with Western philosophy with a consistent stance until the end of his life. He presented a methodology that revealed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philosophy” through comparison with Western philosophy, and ultimately aimed at integrating it with Western philosophy. Liang Qi-chao maintained his position of being critical of Han learning (hanxue 漢學, philological research of Qing Dynasty) but favoring Song Neo-Confucianism (songxue 宋學). Based on this perspective, he embodied his project of “Chinese philosophy” by interpreting the philosophy of Immanuel Kant (1724~1804) in a subjective way. In addition, he emphasized the ancient origin and the practical characteristic of self-cultivation of “Chinese philosophy” through his criticism of Hu Shi (1891~1962). Liang Qi-chao insists that the study of “Chinese philosophy” should be developed in a way that uncovers the specificity of Chinese thinking from the perspective of national learning, but embraces epistemology from the standpoint of not rejecting scientific knowledge. In conclusion, Liang Qi-chao’s project of “Chinese philosophy” can be evaluated as an original and pioneer one to launch modern Chinese philosophy including contemporary new Confucianism, and has great implications not only for Chinese philosophy researchers but also for East Asian philosophy researc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