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윤동주라는 청년 시인을 시대에 따라 전유하고 해석해온 한국 사회의 역사적 특징에 대한 담론적 이론적 이해 속에서 두 가지 목적을 위해 쓰여졌다. 첫째, 2020년 개관한 연세대학교 윤동주기념관의 건립 과정과 기획 의도에 대해 기록하여이후 문학기념관의 현장 종사자와 관련 연구자들, 또한 관람객에게 참고 자료로 기능하고자 한다. 둘째, 윤동주기념관 전시 컨텐츠 조성 사례를 통해 문학기념관이 ‘자료연구-전시’를 연동시키며 ‘라키비움’이라는 개념을 어떻게 구현하는지 살피고자 한다. 오랜 시간 다른 용처로 사용되던 공간이 기념관으로 재탄생하며 장소의 ‘진정성’ 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시’의 정신성과 ‘자료’의 물질성, ‘시인’의 사회적 정체성, 그리고 ‘공간’의 역사성에 균형을 잡을 필요가 있었다. 그리고 라키비움이라는 통합적 공간의 역할을 강조하고자 ‘문화매개공간’이라는 개념을 더했다. 문학기념관은 ‘작가유족(기증자)-연구자-독자/대중(관람객)’을 매개하고, 문자로 이루어진 문학 텍스트를다른 감각 재현과 경험으로 매개한다. 문학기념관은 특정한 사회적 배치 속에서 텍스트를 제출한다는 점에서 그 자체로 미디어이면서 이를 통해 새로운 실천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는 가능성의 공간이다. 즉, 이글은 윤동주기념관의 전시 기획 의도와 과정, 그리고 결과물에 관한 사례 분석을 통해, ‘라키비움’과 ‘문화매개공간’으로서 문학기념관이 ‘자료-연구-전시-행사’를 어떻게 연결시키는지 살펴보고자 했다.
This article was written for two purposes in the discourse and theoretical un derstanding of the histor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society, which has been appropriated and interpreted by a young poet named Yoon Dong-ju according to the times. First, it intends to record the construction process and planning inten tions of Yonsei University’s Yoon Dong-ju Memorial Hall, which opened in 2020, and then function as a reference material for field workers, related researchers, and visitors of the Literature Memorial Hall. Second, through the case of creating exhibition contents at the Yoon Dong-ju Memorial Hall, I want to examine how the Literature Memorial Hall implements the concept of ‘larchiveum’ by linking ‘data-research-exhibition’. In order to strengthen the ‘authenticity’ of the place as a space that has been used for different purposes for a long time is reborn as a memo rial hall, it was necessary to balance the spirit of ‘poetry’, the materiality of ‘data’, the social identity of the ‘poet’, and the historicality of ‘space’. And to emphasize the role of an integrated space called larchiveum, the concept of ‘cultural medi ation space' was added. The Literature Memorial Hall mediates ‘writer-bereaved (donor)-researcher-reader/public (viewer)’ and mediates literary texts composed of letters through other sensory representations and experiences. In that texts are submitted in a specific social arrangement, the Literature Memorial Hall is both a media in itself and a space of possibility to enable new practice. In other words, through case analysis of the exhibition planning intentions, processes, and results of the Yoon Dong-ju Memorial Hall, we tried to examine how the Literature Me morial Hall connects “material-research-exhibition-event” as a “cultural medium space” with “larchive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