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의 목적은 조선후기 가사의 복합적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가사의 장르적 정체성 규정과 연관된 논의의 기반을 마련하는 데 있다. 본 논문에서는 그 연구방법으로 조선후기 가사의 특성에 대한 기존 연구에 입각하여 이를 담당층, 내용, 표현 형식의 세 층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서 다음과 같이 조선후기 가사의 특성이 복합적으로 발현된 동인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조선후기 가사 작품에 주제적 양식이 지배적인 것은 다양한 담당층이 다성적 욕구를 표출한 결과이며, 이는 새로운 변화의 동력을 모색하려는 움직임에 따라 가사 작품 유형이 다변화하는 요인을 형성한 것이다. 이러한 다성적 욕구 표출은 대화체를 사용한 가사 작품이나 규방가사 등에서도 확인할 수 있으며, 그 바탕에는 일정한 교육을 통해 습득한 리터러시를 바탕으로 창작과 전승을 도모한 결과가 작용한 것이다.
둘째, 현실비판가사와 기행가사의 단락별 이합은 한 작품에서 다양한 제재를 통해 여러 가지 관련 내용을 기록하려는 작가 의식의 표출 결과이다. 이처럼 조선후기 가사는 기록성을 강화하여 사실성과 현장감을 강화하는 한편, 내용상 시·공간의 흐름에 따른 개별 단락의 분리와 주제적 통합을 지향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셋째, 풍속이나 세태를 주요 제재로 취택한 가사 작품들은 율독에 적합하게 韻을 고려하여 특정 사실이나 사물을 열거하는 표현 형식을 활용해 독자로 하여금 독서의 편의성과 효율성을 염두에 둔 서술을 지향하고 있다. 또한 조선후기 서사가사 역시 독서물에 가까운 성격을 지니고 있는데, 이는 독자가 작품에 구현된 작가의 사실적 이야기를 간접 체험하면서 공감하고, 작가와의 동질감을 획득할 수 있으며, 이는 작가의 꼼꼼한 기록을 통해 독자로 하여금 동정이나 연민을 불러일으킴으로써 구체화된다고 할 수 있다.
이상의 동인을 통해 조선후기 가사는 대중들이 읽고 공감하며 공유하는 영역까지 그 저변을 확대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이는 근대계몽기의 가사 작품들까지 계승되고, 매체의 등장과 향유 조건에 힘입어 독서물에 더욱 근접한 양상을 보였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prepare a basis for discussion related to the definition of genre identity of Ga-sa by examining the complex characteristics of Ga-sa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this paper, based on the existing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of Ga-sa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research method was divided into three layers: class in charge, content, and form of expression. Through these works,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cause of the complex express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Ga-sa of the late Jo-seon Dynasty as follows.
First, the dominant thematic style in the late Jo-seon dynasty is the result of the expression of polyphonic desires of the various people in charge, which formed a factor in which the types of Ga-sa works were diversified according to the movement to seek a new driving force for change. The expression of these polyphonic desires can be confirmed in Ga-sa works using dialogues and Gyu-bang[閨房] Ga-sa and the result is the result of promoting creation and transmission based on the literacy acquired through a certain education.
Second, the separation and combination by paragraph of the Ga-sa for reality criticism and the Ga-sa for travelling is the result of the expression of the artist's consciousness to record various related contents through various sanctions in one work. In this way, the Ga-sa of the late Jo-seon Dynasty strengthen the recordability to strengthen the realism and sense of presence, and in terms of content, the separation of individual paragraphs according to the changes in time and space and thematic integration are pursued.
Third, Ga-sa works that take customs and social conditions as their main sanctions are directed toward narratives with the reader in mind the convenience and efficiency of reading by using an expression form that lists specific facts or objects in consideration of a rhyme suitable for reading. In addition, the Ga-sa of the epics of the late Jo-seon Dynasty also have a character close to reading. This allows the reader to empathize by indirectly experiencing the author's realistic story embodied in the work and acquire a sense of identity with the author, which is embodied by arousing sympathy or compassion in the reader through the author's meticulous records.
Through the above factors, it can be said that the Ga-sa of the late Jo-seon Dynasty expanded to the realm of reading, sympathy, and sharing by the public. In addition, it can be said that it was inherited even to the Ga-sa works of the modern enlightenment, and it could be said that it showed an aspect closer to reading material thanks to the appearance and enjoyment of the m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