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의 목적은 통신사 의원필담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조선후기와 에도시대 일본의 의료 관련 문화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조선과 일본에 유행했던 주요 질병과 의약, 당시 의료 체계와 이와 관련 있던 사람들의 모습을 객관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는 앞으로 본 연구자가 진행할 통신사 의원필담을 통한 18․19세기 조선과 일본의 의료문화 연구를 구성하기 위한 출발점에 해당한다.
연구 방법으로는 그간 본 연구자가 고찰한 임진왜란 이후 통신사 필담창화집 중에서 의원이 등장하여 필담의 주체로 참여하는 의원필담을 중심으로 크게 ‘질병과 그 치유의 방법’, ‘의약 관련 문화’, ‘의원과 의료기관’으로 나누어 고찰했다. 질병과 그 치유의 방법은 다시 만성 질환과 전염성 질환으로 나누어 살펴보았고, 의약 관련문화는 내복약과 외용약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의원과 의료기관의 경우에는 의원의 삶과 에도시대 의료 기관의 상황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와 같은 고찰을 통해 에도시대 당시에 조선과 일본에 유행했던 질병과 치료 방법 및 의료 체계를 비교적 상세하게 알 수 있다. 나아가 당시 치료에 사용했던 약물을 중심으로 각종 물명에 대한 정체성을 규명함으로써 두 나라의 박물학적 지식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의원필담은 중요한 기록문학이자 일종의 유서(類書)적 기능까지 수행한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융․복합적 교육과 관련한 인재 양성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는 요즈음에 그 지식의 활용과 관련하여 인문학 전공자들에게 많은 시사점을 던져준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medical-related culture of Japan in the Edo period by taking a written answer of the medical members[醫員筆談] to the Tong-sin mission[通信使] as the research object. Through this process, we will objectively examine the major diseases and medicines prevalent in the Edo period in Japan, the medical system at that time, and the people who were related to it. This is the beginning to compose the study of Japanese medical culture and the 18th and 19th century through a written answer of the medical members[醫員筆談] to the Tong-sin mission[通信使] that this researcher will proceed in the future.
The research subject is a written answer of the medical members[醫員筆談]. This is a text in Pi1-dam-chang-hwa-jib[筆談唱和集] in which the medical members[醫員] participates as the main character of the writing. As for the research method, the contents of a written answer of the medical members[醫員筆談] were divided into ‘disease and methods of healing’, ‘medicine-related culture’, and ‘medical members[醫員] and medical institutions’. ‘Diseases and methods of healing’ were again divided into chronic diseases and infectious diseases. ‘Medicine-related culture’ was divided into internal medicine and external medicine. In the case of ‘Medical members[醫員] and medical institutions, divided the life of the medical members[醫員] and the situation of medical institutions in the Edo period.
In conclusion, it is possible to know relatively detailed diseases, treatment methods, and medical systems that were prevalent in Japan and Chosun[朝鮮] during the Edo period. In addition, it was possible to identify the identities of various objects, focusing on the drugs used for treatment at the time. In this way, it can be said that it even functions as a kind of encyclopedia[類書]. Because it is possible to acquire knowledge of the natural history of Japan and Chosun[朝鮮]. This suggests a lot for humanities majors in relation to the use of that knowledge. This is because the importance of nurturing talents related to convergence and complex education is being highlighted these day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