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메이지유신을 전후한 일본 근대역사학 성립기에 등장한 고증학과 계몽사학의 특징 및 의미를 분석한 것이다. 일본의 전후역사학을 주도했던 이시모다 쇼의 논의를 기반으로 오늘날 ‘근대사학사’ 연구는 무엇일 수 있는지를 아울러서 생각해보고자 한다. 먼저 일본의 근세적 역사서술을 대표하는 3종의 사서 『본조통감』, 『대일본사』, 『사료』를 검토하고, 그 단절과 연속으로서 고증학과 계몽사학이 새로운 역사서술의 방법론으로 나타나는 과정을 살펴본다. 다음으로 고증학과 계몽사학이 역사서술의 주도권을 장악하기 위해 협업하는 양상, 그리고 그 전제로서 식민지주의가 존재했음을 밝힐 것이다.
This article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Archaeology and Enlightenment Historiography that emerged during the establishment of modern Japanese history around the Meiji Restoration. Based on the discussion of Ishimoda Sho, a leading postwar historian in Japan, I would like to consider what the study of "modern history" can be today. First, I will examine three books representing modern Japanese historical writing, “Honcho Tsukan”, “History of Great Japan”, and “Saryo”, and examine how Archaeology and Enlightenment Historiography emerged as a new methodology for historical writing, both in discontinuity and continuity. Next, I will show how Archaeology and Enlightenment Historiography collaborated to seize control of historical writing, and the existence of colonialism as a premi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