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학파의 정치ㆍ사회개혁론을 연구한 책. 저자가 지난 2002년부터 3년간 '조선시대 국가경영의 이상과 현실'이라는 주제의 연구책임자로 참여하면서 작성한 실학과 관련된 2편의 글과 조선왕조의 농업정책에 관한 글이 실려 있다. 실학자들의 개혁론과 그 구상에 관련된 내용들을 살펴본다.
목차
_머리말
『磻溪隨錄』의 국가구상론 1. 머리말 2. 국가구상론의 형성 배경 3. 국가구상론의 구조와 지향 4. 맺음말 - 국가구상론의 역사적 의의
『經世遺表』와 새로운 국가구상 1. 서 2. 『경세유표』의 구성체계와 사상적 기저 3. 『경세유표』에 나타난 국가구상의 전개 4. 결론 - 『경세유표』의 국가구상론의 성격
조선후기 실학파의 지방제도 개혁론 1. 머리말 2. 17세기 향촌사회 현실과 지방제도 개혁론 3. 18세기 지방제도 개혁론의 대두 4. 맺음말
부편_조선전기 국가체제의 수립과 농업정책의 방향 1. 머리말 2. 고려말의 향촌현실과 농업사정 3. 조선전기 농업정책의 수립과 전개 4. 맺음말 - 조선전기 농업정책의 역사적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