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 및 안내
오시는 길
연구활동
지역인문학센터
근대한국학 DB
알림
Quick Menu
메인메뉴 바로가기
메인콘텐츠 바로가기
사이트맵 바로가기
보안체크중...
전체메뉴
로그인
공지사항
처음으로
근대한국학연구소
HK+사업단
지역인문학센터
오시는 길
출판물
우수 학술도서
학술활동
근대한국학 DB 소개
데이터베이스 검색
HK DB 검색
근대한국학 온라인 강좌
근대한국학 대면 강좌
문화 학술 행사
연세근대한국학통신
대중 총서
공지사항
소식지
행사 갤러리
언론보도
묻고 답하기
소개 및 안내
연구활동
근대한국학 DB
지역인문학센터
알림
Research
Institute for the study of Korean Modernity
연구활동
출판물
우수 학술도서
학술활동
출판물
연구활동
출판물
전체보기
근대한국학연구소 총서
HK+사업단 총서
저서
학술논문
제목
본문내용
Total
374
보편과 개별의 변증법적 상호제약과 형성적 세계관: 단계 이규호의 사회철학에 관한 일 연구 Dialectical Mutual Constraints and Formative Worldviews of the Universal and the Individual: A Study on Social Philosophy of Lee Kyu-ho
분류 :
학술논문
저자 :
정대성
출판일 :
2024.03.
내용
:
한국서양철학의 2세대 철학자인 단계 이규호(1926-2002, 이하 단계)는 70년대 중반부터 본격적으로 사회정치문제에 대한 철학적 진술을 하기 시작한다. 그를 학문의 세계에 알린 글들은 대체로 철학적 인간학, 언어철학 등과 같은 분야였었다. 그런데 6~70년대 현대철학의 길잡이 역할을 한 『현대철학의 이해』(1964)의 증보판(1977)과 곧이어 출판된 사회정치철학의 대작인 『이데올로기의 정체』(1978)를 통해 사회정치현실에 대한 자신만의 목소리를 내기 시작한다.이 글은 그의 사....
695
하버마스의 진리합의론의 의미연구 A study of the philosophical implications of Habermas's theory of truth consensus
분류 :
학술논문
저자 :
정대성
출판일 :
2023.10.
내용
:
합의는 현대정치사회 뿐 아니라 철학적인 문제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하버마스에 의해 강력하게 지지되는 진리합의론은 진리상응설이나 진리잉여론 등을 비판적으로 극복하고자 한다. 하버마스는 진리를 어떤 궁극적 상태나 합의의 결과로 보는 대신 우리의 의사소통적 행위, 특히 확언적 의사소통의 행위를 가능하게 하는 선험적 조건으로서의 타당성 요청이라고 함으로써 진리를 논의의 문제와 연관시킨다. 그는 툴민의 논의의 논리를 차용하여 언어의 실용적 용....
693
『공각기동대』다시 읽기-로봇의 존재론을 위하여- Rereading GHOST IN THE SHELL ー Toward an robotics ontology ー 『攻殻機動隊』再読 ーロボットの存在論のためにー
분류 :
학술논문
저자 :
심희찬
출판일 :
2024.04.
내용
:
이 글은 그간 의미와 해석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던 오시이 마모루와『공각기동대』를 이야기를 배제한 ‘애니메이션=철학’ 및 존재의 관점에서새로 읽을 것을 제안한다. 우선 질 들뢰즈의 영화론을 바탕으로 오시이가움직이는 그림이라는 애니메이션의 본질을 추출하는 과정을 살펴보고, 이를통해 그의 작품이 철학적 사유의 토대를 견지하고 있음을 논증한다. 이어서하이데거의 존재론과 유사한 문제의식이 오시이의 사상 전반을 관통하고있을 뿐만 아니라, 그의 작....
695
『조선지광』의 소설 읽기— 잉여물과 여성적 욕망 — Reading novels by Joseonjigwang— Surplus and Feminine Desire —
분류 :
학술논문
저자 :
심희찬
출판일 :
2024.04.
내용
:
This article analyzes the novels of Joseonjigwang, which served as the organ of the Korean Communist Party, based on Lim Hwa's surplus and Jacques Lacan's formulation of gender difference. In all, 145 prose texts were examined for their depic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ing-class men and women. These works often share a logic of masculine desire that establishes a symbolic order and excludes others. It usually consists of a narrative in which men on the brink of emasculation become awakened proletarians and enjoy women. At the same time, the feminine desire to introduce absence and space into the symbolic system is....
718
지석영의 길과 주시경의 길 - 근대적 어문 규범화의 문제를 중심으로 - The divergent paths of Ji Seok-yeong and Ju Si-gyeong - an examination centered on the issue of modern linguistic standardization -
분류 :
학술논문
저자 :
김병문
출판일 :
2024.10.
내용
:
Ji Seok-yeong and Ju Si-gyeong were, until approximately 1905, scholarly collaborators who frequently referenced each other's works in the study of the Korean language and letter. However, subsequent to this period, their intellectual trajectories began to subtly but significantly diverge. Their differences extended beyond mere disagreements on isolated issues; rather, they held fundamentally opposing views on the approach to modern linguistic standardization. Ji Seok-yeong placed great emphasis on the preservation of traditional orthographic practices among language users, whereas Ju Si-gyeong advocated for a 'scientific'....
689
‘장치’로서의 조선어학/한국어학의 (탈)구축에 관하여 - 근대 전환기 및 식민지 시기를 중심으로 On the (de)construction of Korean linguistics as a ‘apparatus’ - Focusing on the modern transitional and colonial period
분류 :
학술논문
내용
:
이 글에서는 조선어학/한국어학이라는 담론이자 지식 체계를 하나의 ‘장치’로 보고, 근대전환기 및 식민지 시기를 통해 그러한 ‘장치’가 어떻게 구축되어 갔는지를 검토한다. 조선어학/한국어학을 ‘장치’의 하나로 본다는 것은, 우선 조선어학/한국어학과 절합하는 사회적 제도나 물리적 요소가 무엇인지를 묻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그러한 장치가 과연 무엇을 볼 수 있게 하고(‘가시화’), 무엇을 말할 수 있게 하는가(‘언표화’), 더 나아가 그것이 궁극적으....
662
조선어학, 혹은 한국어학의근대성/식민성에 대하여 - ‘언어의 소외’와 ‘본원 축적’이라는 문제 설정을 중심으로 Reevaluating Modernity/Coloniality in Korean Linguistics - Addressing the Issues of ‘Language Ali..
분류 :
학술논문
저자 :
김병문
출판일 :
2024.02.
내용
:
이 글은 ‘언어의 소외’와 ‘본원 축적’이라는 문제 설정을 통해 조선어학, 혹은 한국어학의 ‘근대성/식민성’을 재검토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언어의 소외’란 언어를 인간의 발화라는 구체적인 맥락으로부터 분리해 내서 마치 그 자체로 존재하는 것처럼 파악하는 근대의 독특한 인식을 말한다. ‘본원 축적’이란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생산자를 생산수단에서 폭력적으로 분리해 내서 임노동 관계에 편입하는 과정을 통해 자본주의 생산 관계가 비로소 가능해....
690
중국의 근대, 근대의 중국
분류 :
HK+사업단 총서
세부구분 :
대중 총서
저자 :
근대한국학연구소 HK+ 사업단 지역인문학센터
출판일 :
2024년 06월 07일
내용
:
두 저자는 중국 근대철학의 형성과 발전을 다각도로 조명하며, 기존의 전통철학과 서양의 근대 사상 사이에서 중국철학이 어떻게 재구성되었는지를 탐구한다. 특히 서학의 충격과 이에 대한 응전 과정에서 형성된 중국 근대철학의 특징을 중점적으로 다룬다. 서양의 근대 과학 개념을 도입하여 전통철학을 재해석하고, 새로운 인학체계를 구축한 담사동. 그의 사상은 전....
1413
근대 신춘문예 당선 단편소설: 동아일보 편
분류 :
HK+사업단 총서
세부구분 :
자료 총서
저자 :
손동호
출판일 :
2024년 05월 25일
내용
:
근대 문학 발전의 디딤돌, 독자 참여 제도근대 시기, 신문이나 잡지 등의 매체는 독자를 확보하기 위해서 다양한 독자 참여 제도를 시행하였다. 대표적인 사례로는 독자투고, 현상제도, 신춘문예 등이 있다. 독자투고는 독자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독자들에게 지역 소식, 전설, 속담, 방언 등 비교적 간단한 원고를 받아 신문에 게재하였다. 독자투고는 일방적인 수용자....
965
한국 근대소설사
분류 :
근대한국학연구소 총서
세부구분 :
연세근대한국학총서
저자 :
김영민
출판일 :
2024-03-20
내용
:
매체와 독자 역할의 중요성이 책은 한국 근대소설의 발생과 전개 과정을 차례로 정리하고 그 특질에 대해 연구한 것이다.이 책에서 다루는 시기는1890년대 이후부터1910년대 말까지이다.근대계몽기라 일컬어지는 한국 근대소설사의 출발 단계를 집중적으로 다루고 있다.이 책의 기본을 이루는 생각은 문학사 및 문화사를 이끌어 가는 것은 작가가 아니라 매체라는 사실이....
2866
1
2
3
4
5
6
7
8
9
10
26493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연세대길 1
근대한국학연구소 청송관 271호 / Tel: 033)760-2531 / E-mail:
modernkorean@yonsei.ac.kr
인문한국플러스(HK+)사업단 청송관 273호 / Tel: 033)760-0122(사업단) / E-mail:
ysmkhk@yonsei.ac.kr
Copyright (c) Yonsei University. All rights Reserved.
Powered by
D'TRUST
교내 주요 사이트: 선택
연세대학교
연세포탈서비스
교원정보시스템
연구처·산학협력단
학술정보원
LearnUS
With YONSEI
RC융합대학
YGEMS 경력개발포털
SW중심대학사업단
C-Cafe 경력개발센터
산학연협력학생포털
미래융합교육개발원
인문한국플러스(HK+)사업단
국제교류원
미래평생교육원
상담코칭센터
장애학생지원센터
머레이봉사단
학생복지처
원주생활관
대외협력부
청파·한경범장학회
유관 기관 사이트: 선택
교육부
한국연구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