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고는 정인보의 ‘국학’ 사상에 나타나는 주체성과 실심(實心, 참된 마음) 정신의 역사적 계보를 추적하고 그 특징을 조명하였다. 근세 동아시아 사상사에서 주체성과 실심이 주요 화두로 등장하기 시작한 것은 중국 송대(宋代) 신유학(新儒學)에서 비롯된다. 정이(程頤)는 주체의식을 강조한 최초의 사상가이며, 주희(朱熹)와 왕양명(王陽明)은 정이의 주체성의 원리에 입각한 사상을 계승하되 방법론에서 차이를 보일 뿐이다. 조선시대 정제두(鄭齊斗)와 강화학파는 신유학의 주체성과 실심의 정신을 발휘한 하나의 사례이다. 정인보(鄭寅普)는 학맥에 있어 강화학파에 속하지만, 양명학이 실심의 자각과 실천에 있어 더 효과적이라고 보았기 때문에 방법론적으로 활용했을 뿐이다. 특히 주목할 점은, 주체성의 원리가 정인보로 하여금 주희 도덕이론(인심도심론)의 골격을 거의 그대로 따르도록 이끌었다는 점이다. 이기적인 욕구(자사심)를 옳고 마땅한 것을 자각한 마음(실심)으로 통제해야 한다는 주장은, 인심(감각욕구)과 도심(도덕심)의 갈등 상황에서 도심을 선택하여 인심이 도심의 명령을 받도록 제어하라는 주희의 견해와 일치한다. 이 같은 윤리학은 행위의 내적 동기나 의무감을 중시하는 입장으로서, 사실상 주희와 왕양명에 있어서도 근본적 차이는 없는 것이다. 적어도 이점에서 근현대 한국학을 유교전통과의 단절이 아닌 연속의 관점에서 바라볼 필요가 있다.
This paper traces the historical genealogy of the subjectivity and the silsim (實心, true mind) that appear in Jeong In-Bo's "gukhak" (國學, the national learning) thought and illuminates its characteristics. In the modern East Asian history of thought, the beginning of the emergence of subjectivity and the silsim as the main philosophical topic comes from the Neo-Confucianism of Song Dynasty in China. Cheng Yi is the first thinker to emphasize subjectivity and consciousness. Zhu Xi and Wang Yang-ming inherit the Neo-Confucian thought based on Cheng Yi's principle of subjectivity, but only show difference in methodology. In the Chosun Dynasty, Jeong Je-Doo and his School were one example of the Neo-Confucian spirit of subjectivity and the silsim. Although Jeong In-Bo (鄭寅普) belongs to Jeong Je-Doo's school of Ganghwa in the school curriculum, he has only used it methodologically since he believed that Yangming's learning is more effective in the awareness and practice of the silsim. Especially noteworthy is that the principle of subjectivity led Jeong In-Bo to follow the frame of Zhu Xi's moral theory. Jeong's claim that selfish desire (jasasim 自私心) should be controlled by a conscious mind (silsim) being aware of the right and 'ought to do' corresponds to Zhu Xi's view that the moral mind (dosim 道心) should be selected in the conflict situation between sensual desire (insim 人心) and moral consciousness so that the insim should be supervised by the dosim. Such ethics is a position to emphasize the inner motive and the sense of duty of conduct, and there is no fundamental difference in Zhu Xi and Wang Yang-ming. At least on this point, it is necessary to look at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studies from the perspective of continuity, not discontinuity from Confucian trad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