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는 자명한가?
‘하나의 언어’란 무엇인가. ‘언어공동체’라는 것은 정말 존재하는가. 언어=공동체=영토의 조화적 결합이라는 인식은 근대의 주권영역 국가의 이미지를 언어에 투영함으로써 만들어진 것이 아닐까.(55쪽)
[언어.헤게모니.권력](소명출판, 2016)은 지금까지 누구에게나 ‘자명한 사실’로 간주되고 논의되어 오던 ‘한국어’, ‘일본어’, ‘영어’ 등의 개념에 대해, 그 자명한 사실에 의문을 제기하고, 사람들이 어떻게 그것들을 자명한 사실로 인식하게 되었는지를 조명한다.
즉, ‘언어란 무엇인가’라는 기존의 논의에 대한 안티테제로서 ‘사람들은 언어를 어떻게 보아 왔는가’, 보다 정확히 말하면, ‘어느 시대, 어떤 사회에서, 사람들은 언어를 어떻게 인식하고, 어떤 식으로 가치를 부여해’ 왔는가를 규명하고자 한다. 그렇기 때문에 언어학이라는 과학도 실은 ‘언어를 보는 방식’의 하나일 뿐, 결코 특권적인 지위에 있는 것이 아니라고 저자는 간주한다.
우리가 당연한 상식처럼 여겨 온 ‘한국어’, ‘일본어’라는 개념이 자명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자명하다고 인식되는 구조에 대하여 언제부터, 왜 그렇게 인식하게 되었는가를 집요하리만큼 파헤치고 있는 것이 바로 이 책이다.
중후한 언어사상사 연구자의 학문적 깊이를 읽다
이 책은 2005년에 한국어로 번역된 [언어 제국주의란 무엇인가]의 공편자이자, 그 책에 실린 .언어 헤게모니.와 .언어 제국주의론의 사정.의 필자인 가스야 게스케 교수의 첫 단독 저서이다. 그는 일본의 언어 사회학을 주도해 온 히토쓰바시 대학의 언어사회연구과 교수로, 주로 언어사상사 분야에서 중후한 연구 업적들을 계속 발표해 왔다.
본서는 특히 프랑스 혁명에서의 언어 정책과 관련한 논의가 중심을 이루고 있는데, 그것은 프랑스 혁명에서 처음으로 ‘국어(langue nationale)’의 이념이 구축되고, 구체적인 언어 정책이 제안되었다는 사실과 더불어, 오늘날의 ‘한국어’, ‘일본어’라고 하는, ‘사회적 상식’이 말하는 ‘국어’의 모델 또한 프랑스 혁명에 기인하는 것이라고 저자는 보고 있기 때문이다.
[언어.헤게모니.권력]은 총 3부로 구성했다.
제1부에서는 근대 국민 국가에서의 ‘국어’의 발생 과정, 특히 입말이 정책의 대상이 되고, 그 정책에 의해 대중은 어떻게 통제되며, 또한 그 과정에서 어떠한 인식을 가지게 되는지, 이윽고는 그들이 어떻게 전체론적 언어상을 가지기에 이르렀는지에 대하여 논의한다.
제2부에서는 문법과 사전이 갖는 정치성, 그레구와르, 만조니, 리바롤 등의 논쟁을 치밀하게 분석하고 있다. 그리하여 이들의 논쟁으로 인해 ‘아름다운 언어’, ‘명석한 언어’ vs ‘야만의 언어’, ‘열등한 언어’라는 구도가 만들어졌고, 또한 그 구도가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하게 기능하고 있음을 밝힌다.
제3부에서는 ‘언어를 통해 공동체를 형성한다’는 이데올로기에 동의하면서, 그 동의를 기반으로 타자를 구분 짓고, 그 구분에 의해 자신이 속한 집단에 우월감을 가지며 동시에 타자 집단을 열등하게 보는 인식의 구조와 그 역사에 대해 고찰한다.
근대 국민국가 탄생 이후, 국민 통합의 장치로서 ‘국어’가 정책으로 구상되었다는 논의와 그것이 갖는 문제점에 대한 논의는 1990년대 이후 사회언어학 연구에서 많은 진전을 보았다. 이러한 연구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국어’가 정책으로 구상되기 위해서는 어떤 언어 사상이 조건으로 필요한지에 대해 본격적으로 논의한 것이 이 책의 장점이자 미덕이다.
독자는 이 책에서 저자가 연구자의 길로 들어서서 연구의 모티브로 삼았던 언어 정책에서 언어 인식을 발견하고, 언어 인식에서 정치성을 발견해 가는 과정의 결과물을 통해 그의 학문적 깊이와 넓이를 느낄 수 있다.
목차
한국의 독자들에게
1부
1장언어인식과 언어정책-자연주의와 자유주의의 함정
2장‘국어’는 어떻게 발생하는가-발생적 고찰
3장전체론적 언어상의 형성-‘고귀한 속어’에서 근대 국민어로
2부
1장언어와 헤게모니
2장‘일반문법’의 정치학
3장기원의 타자(他者)-계몽 시대의 야생아와 농아자(聾?者)
4장언어의 ‘위계제’와 ‘민주제’-리바롤과 그레구아르
5장‘국어’의 두 모델-만조니와 아스콜리
6장국어/그레구아르/만조니
7장언어?경계?영토-혹은 선(線)과 면(面)의 정치학
8장‘네이션’과 계몽
3부
1장언어와 권력-언어적 권위의 승인 구조
2장언어공동체 개념 재고
3장‘언어 기호의 자의성’이란 무엇을 의미하는가-역사적 고찰
4장‘아랍인은 말에 백 개의 이름을 갖는다’-어느 풍문의 역사
초출 일람
역자 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