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미국의 ‘또 하나의 애국가’라고 불리는 「공화국 찬가 (Battle Hymn of the Republic)」가 한국전쟁 이후 산업화, 근대화 과정을 겪으며 한국의 「조국찬가」로 불리는 일련의 과정을 추적하며, 이 곡이 정치, 사회, 국가적 경계를 넘어 새로운 문화적 상황과 청중들과 조우하는 과정에서 변용(transformation), 전용(appropriation), 혼용(hybridization)되어 새로운 의미의 텍스트로 탈바꿈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이 곡이 미국이라는 경계를 넘어 한국의 컨텍스트로 넘어오는 과정에서의 음악적 수행의 변화를 비교ㆍ문화적인 맥락에서 연구하면서, 궁극적으로는 일본 식민지시기 태어나, 해방, 미군정, 전쟁, 분단, 산업화의 시간의 접경을 건너온 한국의 식군전산(植軍戰産)세대**에게 ‘조국’의 의미가 무엇인지 고찰해본다.
이 논문은 음악이 문화, 사회, 역사적인 맥락, 특히 국가, 민족 정체성의 형성이나 국가 건설의 과정에서 갖게 되는 의미와 그 역할을 모색하는 음악인류학 연구의 한 사례로서 그 의의를 갖는다. This paper examines the transformation and adaption of the song “Battle Hymn of the Republic” known as the second American national anthem, as a way to assess how the act of music-making, is closely linked to nation-building in Korea. The notion and symbolism of the home/homeland is imagined, constructed, and performed through music. A closer look at this specific song reveals the influential role of music, in shaping a hegemonic notion of the homeland and national identity, by drawing a clear boundary with the othe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new dimensions for consideration in the analytic discourse of the homeland and music, by tracing the transformation and adaptation of the song through ethnomusicological research. The connection between music and society, and the meaning of music in a society, have been a central focus of ethnomusicological studies, as well as investigation relative to national identity. Drawing on this scholarship, this paper explores how “Battle Hymn of the Republic” has been positioned as an ideologically-ridden song in the process of Korean modernization, since the notion of the homeland and home emerged as significant symbols of Korea since the division of the two Korea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