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일제 말기 조선에서의 사상사적, 미학적 전환점을 포착하고 있다. 이 전환점은 사건사적으로는 중일전쟁 발발을 계기로 주어진 것이다. 저자는 이 시기에 조선 지식계층의 역사적, 미학적 상상력이 어떤 변화를 겪게 되었는지, 그 변화의 근저를 관통하는 내적 논리는 무엇인지에 대해 질문하고 있다.
일제 말기의 조선을 이해하는 데 그다지 주목받아오지 못했던 역사철학적 상상력을 포착하여 일종의 지배적인 '시대정신'으로 규명해내고 있다. 기존의 세계가 파국을 향해 치닫는 이 때 비로소 동양이 중심이 되는 새로운 세계를 건설할 수 있을 것이라는 욕망 구조가 바로 그것이다. 이 책은 이와 같은 역사철학적 상상, 조선의 자기 상상을 데카당스 개념으로 설명한다.
이와 같은 시대 파악의 틀 내에서 단층파와 최명익, 이태준과 김동리와 같은 작가들을 다룬다. 저자에 따르면 단층파나 최명익은 특유의 몰락의 미학, 퇴폐적 스타일을 통해 일본 파시즘의 정치적 사유로부터는 거리를 취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비해 이태준이나 김동리, 이광수, 임화는 지배적인 '시대정신'과 같은 방향을 취하면서 서서히 제국 본토의 '꿈'으로 이동해 간다. 이태준이나 김동리는 심미적-간접적으로, 이광수는 매우 직접적으로 그리고 임화는 계속 좌고우면하면서 나름대로 전망의 방향을 찾아나간다. 그러면서 1930년대 후반이 그리고 있는 전반적인 정신사적 흐름 내부에 존재하는 다층적인 차이와 변이들을 포착해 나가고 있다.
문화 분석을 통해 식민지 조선의 욕망의 구조를 드러내고 있는 부분 또한 흥미롭다. 저자는 1930년대 본격적인 자본주의적 근대화 진행 과정에서 조선에 형성된 집단적 취향의 영역을 통해 유행, 소비문화의 정치성을 규명하고 있다. 이것은 식민지 근대화와 대중, 대중 취향의 형성이라는 문제를 중심으로, 근대적 일상을 살고 있는 조선인의 감각에 어떤 식의 변화가 일어났는지, 이 변화가 어떤 맥락과 조건 속에서 발흥하게 되었는지를 밝히는 작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