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0년을 전후하여 근대초기 신문‧잡지에서는 ‘고사’ 작품이 마치 유행처럼 연재되었다. 이 같은 ‘고사’ 연재물은 전통산문 양식의 계승과 수용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근대시기 단형서사의 특징을 살필 수 있는 중요한 근거 자료가 된다. 『황성신문』의 경우에도, 시기별로 ‘지면’과 ‘명칭’을 바꿔가며 「故事」, 「國朝故事」, 「大東古事」 등의 ‘고사’ 연재물이 발표되었다. 그러나 작품에 대한 정확한 저자 정보를 확인할 수 없고, 작품마다 소략한 일화성의 내용들과 유기적이지 못한 주제와 소재, 모호한 연재중단 등은 연구의 진척을 가로막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황성신문』의 주필로 거론되는 인물들을 검토한 뒤, 그들이 직접 집필했거나 편집에 관여했던 역사서와의 영향관계, 문체 및 내용 분석 등을 통해 「故事」ㆍ「國朝故事」의 저자를 규명해보고자 하였다.
특히, 장지연의 『新訂東國歷史(本朝紀)』에서는 「故事」와 「國朝故事」에 연재된 다수의 작품들이 유사한 형태로 재수록되어 특기할 만하다. 본고에서는 세종조 기사를 중심으로 작품간 연관성을 밝히는 데 집중하였는데, 그 과정에서 해당 작품들이 비슷한 시기 간행된 여타 역사서‧역사교과서와 변별되는 ‘잡기류’로서의 특징들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같은 사실들은 「故事」‧「國朝故事」를 장지연의 저술로 볼 수 있는 근거라 할 수 있다.
Around 1900, it was popular for newspapers and magazines to publish series of ‘Gosa’. These series of Gosa are important data in that they reveals a key characteristic of the short narrative of the modern age - the acceptance and succession of traditional prose style. In the case of the Hwangseong Sinmun, the series of Gosa were published, changing their sections and names: Gosa, Gukjogosa, Daedonggosa. However, there are some factors that hinder the progress of the study: not being able to verify the exact author of the series, containing short contents of anecdotal, having unorganized themes and topics, discontinuing publishing unexpectedly.
Therefore, reviewing the figures mentioned as the managing editors of the Hwangseong Sinmun, this paper aimed to uncover the anonymous author of Gosa and Gukjogosa by comparing their influence into and relation with the history books they afterwards wrote or engaged in editing.
In particular, it is noteworthy that Jang Ji-yeon's Sinjeong Donggukyeoksa (Bonjogi) contained in similar forms a number of works that had been serialized in Gosa and Gukjogosa. This paper focused on revealing the link between the articles about the incidents which occurred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ng, and in the process, it was able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ks classified as "miscellany" which are distinguished from history books or history textbooks published around the same period. These facts suggest that Jang Ji-yeon wrote Gosa and Gukjogosa.